요즘은 아마존 AWS나 오라클 OCI, 구글의 GCP 등 클라우드 컴퓨팅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업이 있다.
특히 오라클이나 구글은 일정 사양을 가진 VM을 만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GCP에서 무료 VM 인스턴스를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무료 등급 사양 참조
먼저 GCP에서는 무료 등급의 VM 사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조건을 지켜 생성하면 금액 청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생성 과정 - 프로젝트 만들기
먼저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자.


VM 인스턴스가 생성될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자.
생성 과정 - VM 생성

VM 만들기 클릭

사용 버튼을 눌러주고 잠시 기다리면 완료되었다는 알림이 뜨는데 새로고침을 한 번 해준다.

관리 클릭

인스턴스 만들기 클릭



처음 무료 등급 조건에서 본 뒤로 CPU와 디스크 설정을 한다. HTTP 트래픽 허용은 자기가 웹서버를 구동해 보려는 경우 활성화해준다.
설정을 하면 예상 금액에 약 7달러가 나올 것이라고 하고 있는데 실제론 안 나오니 그대로 생성하면 된다.

완료되면 클릭해서 대시보드를 볼 수 있다. SSH로 들어가면 바로 콘솔 창을 볼 수 있다.

깔린 게 별로 없으므로 알아서 하고 싶은 대로 구성해서 사용한다.
번외 - 예산 설정
진짜 무료인지 궁금하니까 이를 확인하는 예산을 설정해 보자.

사진엔 이미 설정한 예산이다. -1270원으로 표시되어 0원이 청구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위에 예산 만들기를 눌러서 알림 한도를 0원으로 설정한 후 어떻게 청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하면 매월 구글에서 0원을 모두 사용했다는 이메일 통지를 받아볼 수 있고 그 이상의 금액은 나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어떻게 무료 인스턴스를 만드는지 잘 았았으니 요긴하게 써먹어보자.
'Untagg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에서 IP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일 1 (0) | 2025.01.19 |
---|---|
VSCode remote SSH 무한 로딩 문제 해결 (0) | 2024.12.15 |
비전공자도 쉽게 따라하는 소스트리 설치 (1) | 2024.09.23 |
비전공자도 쉽게 따라하는 git 설치 (0) | 2024.09.23 |
PS 노베이스의 ICPC 도전 가이드 (1) | 202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