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 포스트에서는 AUTOSAR 표준에서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인 SecOC를 알아보도록 한다.
AUTOSAR에서 제공하는 공식 PDF를 정리했으며 원문이 궁금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링크: https://www.autosar.org/fileadmin/standards/R20-11/FO/AUTOSAR_PRS_SecOcProtocol.pdf
AUTOSAR란?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는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표준화된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이며 차량 소프트웨어의 표준을 만들기 위한 조직이다.
SecOC - Secure Onboard Communication
SecOC는 AUTOSAR 표준의 차량 내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로,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 간 통신에서 데이터 무결성 및 인증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수신 데이터가 올바른 ECU에서 온 건지, 변조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ecOC의 핵심 목적
- 차량 내 ECU 간 통신 데이터의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
- AUTOSAR 통신 시스템 간 상호 호환
- 차량 내 PDU(Protocol Data Unit) 단위 보호
- 리소스 효율적인 구현
- Freshness Value 활용을 통한 메시지 재전송 공격 방지
SecOC 프로토콜의 동작 방식
SecOC는 ECU 간 데이터 통신에서 PDU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송신 ECU와 수신 ECU 모두 SecOC 모듈을 구현해야 한다.
Sending Process
- SecOC 모듈은 인증 정보를 포함한 Secured I-PDU를 생성. 인증 정보에는 MAC + Freshness Value(FV)를 포함할 수 있다.
- Freshness Manager에서는 Freshness Value를 확보한다. 이때, 타임스탬프나 카운터 값을 활용하여 메시지의 유효성을 증명한다.
- MAC 생성. SAK를 활용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한다.
- Secured I-PDU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Receiving Process
- 수신 ECU의 SecOC 모듈이 송신자로부터 Secured I-PDU를 수신한다.
- Freshness Value를 검증한다. Freshness Manager를 통해 최신 값인지 확인한다. 만약 이전에 사용된 값이라면, 재전송 공격(Replay Attack) 임을 판단한다.
- 수신된 데이터로 MAC을 다시 계산 후, 기존 MAC과 비교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한다.
- 검증을 성공하면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다는 뜻이므로 상위 레이어로 전달한다. 그렇지 않다면 해당 데이터는 폐기하고 오류 보고를 수행한다.
SecOC의 주요 기능
- 인증: MAC을 사용하여 송신 ECU를 인증
- 무결성 보호: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음을 보장
- 재전송 공격 방지: Freshness Value를 통한 중복 메시지 차단
- 유연한 보안 정책 적용: MAC 알고리즘, Freshness Value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SecOC의 보안 요소
MAC
- 무결성 및 출처 검증을 위해 사용
- AES 기반 CMAC을 사용할 수 있다.
- 필요시 MAC Truncation을 할 수 있음
Freshness Value
- 타임스탬프 기반 또는 카운터 기반으로 구현
- 메시지의 재전송을 방지하고 최신성을 검증함
Security Profiles
- SecOC는 다양한 보안 수준을 제공하는 프로파일이 지원한다.
- 그 예로 일본의 자동차 표준 JASPAR 프로파일은 24비트 CMAC과 8비트 FV로 구성된다.
SecOC와 MACsec의 비교
항목 | SecOC | MACsec |
보안 계층 | 자동차 네트워크 | L2 |
보호 대상 | ECU 간 전송되는 PDU | 이더넷 프레임 |
인증 방식 | MAC과 FV | ICV와 PN |
암호화 여부 | 무결성과 인증 중심 | 무결성에 암호화를 제공 가능 |
재전송 공격 방지 | FV | PN |
성능 제한 | 차량 ECU의 제한된 리소스를 고려 | 초고속 네트워크에서도 효율적 |
SecOC을 통해 차량 내 ECU 간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고 자율 주행 차량에서 센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신호 변조를 막을 수 있으며, OTA 업데이트에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728x90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0) | 2025.03.01 |
---|---|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0) | 2025.02.28 |
MACsec 알아보기 (802.1AE)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