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종유석과 석순을 살펴보면 어떤 식으로 나열되어 있든 부숴야 될 갯수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그 즉슨 종유석과 석순을 정렬하고 이진 탐색을 통해 어떤 높이에서 몇개 부숴야 하는지 확인하면 빠르게 풀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부터 h까지 반복문을 돌려 해당 높이에서 최소한으로 부술 수 있는지, 최소한으로 부술 수 있는 경우가 몇개인지 확인하면 AC를 받을 수 있다.
시간복잡도 $O(HlogN)$
전체 코드
더보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h;
int breaking = 1e9;
int cnt;
int main()
{
cin.tie(0); ios::sync_with_stdio(false);
cin >> n >> h;
vector<int> down(n / 2), up(n / 2);
for (int i = 0; i < n / 2; ++i)
cin >> down[i] >> up[i];
sort(down.begin(), down.end());
sort(up.begin(), up.end());
for (int i = 1; i <= h; ++i)
{
int tmp = 0;
tmp += down.size() - (lower_bound(down.begin(), down.end(), i) - down.begin());
tmp += down.size() - (lower_bound(up.begin(), up.end(), h - i + 1) - up.begin());
if (tmp <= breaking)
{
tmp == breaking ? ++cnt : cnt = 1;
breaking = tmp;
}
}
cout << breaking << ' ' << cnt;
}
|
cs |
728x90
'백준 > 탐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I] 백준 2502 - 떡 먹는 호랑이 (0) | 2022.05.26 |
---|---|
백준 4160 - 이혼 (0) | 2022.01.16 |
[ICPC] 백준 20047 - 동전 옮기기 (0) | 2021.10.09 |
백준 2208 - 보석 줍기 (0) | 2021.01.27 |
백준 1208 - 부분수열의 합 2 (0) | 202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