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tagged

Rancher Desktop으로 도커 컨테이너 구동하기

728x90

이 포스트에서는 오픈소스로 k3s 환경을 GUI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Rancher Desktop을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고 FastAPI 컨테이너를 실행해 본다.

Rancher Desktop

 

Docker Desktop이 250인 이하, 1000만 달러 이하의 매출이라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유료 요금제를 사용하는 걸로 바뀌게 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오픈소스 도구들이 등장했다. Rancher Desktop은 그중 하나이다.

설치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바로 OS 별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윈도우를 기준으로 설치한다.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설치 옵션을 지정할 수 있는데 쿠버네티스를 활성화하고 도커 api 사용을 위해 컨테이너 엔진을 dockerd로 지정하고 OK 버튼을 눌러준다.

 

 

설치가 끝나면 재부팅을 하라고 한다. 재부팅해주자.

 

 

그러면 위와 같이 Rancher Desktop 창이 우릴 반겨준다.

 

 

도커도 같이 설치되었는지 터미널에서 docker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해 주자. dockerd가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컨테이너 확인

왼쪽 메뉴에서 Containers를 클릭하면 현재 구동되는 컨테이너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그런데 새로고침 버튼은 따로 없고 다른 메뉴를 갔다가 돌아와야 새로고침이 된다. 나중에는 개선해 주겠지?

 

 

Extensions에서 필요한 확장을 찾아 설치할 수 있다.

 

 

이미지에 어떤 보안 취약점이 있는지 스캔해주는 기능도 있다. 설치된 패키지에 대응하는 CVE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겸사겸사 간단한 JSON 데이터를 반환하는 api를 만들고 테스트해 봤는데 잘 작동된다.

 

이렇게 Docker Desktop 대신 오픈 소스로 사용할 수 있는 Rancher Desktop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Docker Desktop의 유료 요금제를 지불할 정도면 그만큼 자금에 여유가 있으므로 다른 도구를 쓰는 게 모순이 되겠지만 어떤 이유로 무료 도구를 사용해야만 한다면 충분히 괜찮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728x90